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Mac
- mojave
- IOS
- 시에라
- tevo
- macos
- AirPods
- asahi linux
- Tarantula
- 컨트롤러
- 3D 프린터
- 애플
- 3D프린터
- 모하비
- Fedora
- 터치바
- 버그
- Linux
- asahi
- catalina
- sierra
- beta
- iOS 13
- high sierra
- 업데이트
- 맥
- 정식버전
- 아이폰
- 에어팟
- 맥북프로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906
elsa in mac

이번 포스트에서는 Asahi Linux에서 QEMU를 이용한 windows 11 가상머신을 만들고,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개인적으로는 Windows를 그렇게 사용할 일은 없는데, 아주 가끔 또 사용할 일이 있어서 완전히 필요가 없는 것은 아니고 필요할 때는 macOS로 부팅해서 parallels로 사용하면 되긴 합니다 만.. 그것도 조금은 귀찮은 일인지라.. Asahi Linux에서 사용가능하다면 좋지 않을까 하여 Try를 해 봤습니다. 아래의 전체 진행과정 중에 살짝 건너띈 부분도 있고, 사용자들이 환경이 필자와 달라 동일한 결과가 나오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 점은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이 과정은 Fedora Asahi Remix 41 혹은 42에서 최신 Kernel 업데이트를 반영..

이번 포스트에서는 Linux 의 시스템 서비스를 담당하는 systemd 의 서비스들을 쉽게 확인하고 각 systemd 서비스의 log를 확인할 수 있는 CLI 툴을인 systemctl-tui를 소개 합니다. systemd는 기존의 전통적인 init 시스템을 대치하기 위해 등장한 것으로, Linux의 전통성을 중요시 여기는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약간 부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오늘날 대부분의 Linux 배포판이 이를 지원하며 사용상의 편의성도 높은 편 입니다. 일반적으로는 systemd 서비스들을 다룰 일이 그리 많지 않기는 하지만, 시스템을 최적화하는 측면에서는 불필요한 서비스를 정리하거나 할 때 가끔씩 관심을 갖는데.. 이럴 때 편의성을 제공하는 TUI 도구 입니다. Rust로 작성된..
Asahi Linux의 공식 블로그 홈페이지에 개발 진행 보고서가 올라 왔습니다. 제목이 Progress Report: Linux 6.14 라고 되어 있네요.최근 주요 개발자들이 팀을 떠나면서, 어수선한 분위기 이지요. 사용자들 중에서는 Asahi Linux의 개발 중단을 염려하는 우려의 목소리도 흘러 나옵니다. 이번 3월 보고서는 그래서 아마도 이러한 사용자들의 우려에 대한 팀의 입장을 알리려는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내용이 좀 긴데요.. 제목에서 보이듯이, Linux 6.14 릴리즈가 가까워 지면서, 그동안 팀에서 중점적으로 업스티림(Upstream)과 다운스트림(Downstream) 각각의 측면에서 진행해 온 과제들의 진행 사항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Upstream 또는 Downst..

M1/M2 Apple Sillicon mac 에서 Linux를 사용할 수 있는 Fedora Asahi Remix 42 Beta가 릴리즈 되었습니다. 타이틀이 내포하고 있는 그대로, Fedora 42 버전의 Asahi Linux 를 의미하는 것으로 Fedora Linux 42의 모든 변경사항이 포함되어 있으며, 추가적으로 FEX 통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물론, 아직은 Beta 버전이기 때문에 버그 또는 기존 버전 대비 아직 준비가 안된 누락된 요소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판올림이 되더라도 개인적으로 추가 또는 빌드한 Package 들이 아직 상위 호환을 준비하지 못해 설치나 동작에 문제를 유발할 수도 있다는 것을 감안해야 합니다. 예를 들자면, 현재 fedora 42용 Docker-C..

"Linux를 왜 쓰는가 ?"참으로 진부한 질문이기도 하지만, 늘 다시금 생각해 보는 문제이기도 합니다. 그 유구한 역사 속에서 Linux를 왜 써야 하는지에 대한 결론이 났다면, 지금 이 문제가 의문이 되어서는 안됩니다. 그 수 많은 역사속으로 사라진 Tech 들 처럼 이미 Linux는 사라졌어야 하지요.. 하지만, 끈질기게 사라남아 있고.. 꽤나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늘도 지인과 대화 중에 "너는 왜 Linux를 쓰냐 ?" 라는 질문이 나왔습니다. "그러게 왜 나는 Linux를 쓰지 ?"Window는 XP(2001)까지만 쓰고 쓰지 않았으니까, 이제는 오히려 쓰는 것이 어색할 지경이고, 그나마 몇 가지 Window에서만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 간간히 가상머신으로..

2025년 3월 8일자로 kitty의 새로운 0.4 버전이 릴리즈 되었습니다. 이번 릴리즈에서 가장 주목받는 것은 새롬게 추가된 text size protocol로, kitty terminal에서 다양한 크기의 font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 졌다는 점 입니다. 지금까지 일반적으로는 터미널은 동일한 크기의 character grid 기반이기 때문에, 단일 텍스트 크기에서 폰트의 굵기나 기울임 등으로 다양성을 표현해 왔습니다. 물론 예외적으로 CJK(중국어, 일본어, 한국어)등은 예외적으로 두 개의 셀로 렌더링하는 수준이였죠. 하지만, 이번에 kitty에 추가된 새로운 프로토콜은 터미널에서 다른 크기의 텍스트를 표현할 수 있게 해 줍니다. 가시적으로 볼 수 있는 한 라인에 여러 크기의 폰트를 섞어 사용할..

개발 업무로 여념이 없다보니, 이런 큰 일을 놓치고 있었네요.Asahi Linux는 일반인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스페인 출신의 리버스 엔지니어 프로그래머이자 playstation 및 Wll emulator의 homebrew 개발자로 알려진 Hector Martin(헥토르 마틴) 이 Apple silicon에 Linux를 포팅해 보자는 야심찬 목표로 시작된 Open Source Project 입니다. 이번 그의 개발 리더 사임과 관련하여 본인의 입장을 낸 블로그가 공개 되었는데요. 내용을 요약해 보자면, Full-Time Job으로 Asahi Linux 개발에 전념하기 위해서는 재정적인 후원과 기부가 필요한데, 시간이 갈 수록 줄어드는 것과 끊임없는 기능과 성능에 대한 요구와 질문들, 성과에 ..

Yazi는 터미널 에뮬레이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여러 File Manager중 최근 주목받는 CLI 앱 입니다.속도, 사용 편의성, Preview, Plugin을 통한 기능확장 및 Custom 등 모든 면에서 흠 잡을때 없이 만족스러운 File Manager 입니다 만, 딱 하나 흠이라면.. Nerd Font 아이콘 중 일부가 File 및 Folder 명과 너무 가까이 붙어서 표시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좀 더 확대를 해 보면,그렇죠.. 몇몇 Icon들이 길어서 폴더 명과 붙어 있는 것들이 보입니다.결국, Text 기반이기 때문에 아이콘과 텍스트 사이에 이격을 늘리려면 space 한 칸을 더 넣어줘야 합니다. 그러기 위헤서는 source 코드를 변경해야 합니다. 해당 부분은 yazi/yazi-plugi..

ghostty 터미널이 공개 전환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ghostty 터미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만, 다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한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포스트 제목과 같이 fcitx5를 IME로 사용하는 Linux에서 single modifer key 로 한/영 전환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여타 다른 terminal emulator에서 와는 달리 ghostty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것 입니다. 본인의 경우 자판의 "왼쪽 Shift 키"를 한/영 전환키로 사용합니다. kitty, wezterm, foot 등 기존의 다른 terminal emulator에서는 단일 shift키를 이용한 한/영 전환에 아무런 문제가 없는데, ghostty에서는 이것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이것은 아마도 내부 key..

현지시각으로 2024.12.26일 한국시간으로는 27일 아침에 세간의 관심을 끌어왔던 새로운 terminal emulator인 Ghostty 가 1년 이상의 closed beta를 마치고 마침내 대중에 공개되었습니다. 현재 공식적으로 버전 1.0.0 의 macOS 버전과 Linux(arch..) 버전이 배포되고 있습니다 만, 안타깝게도 아직 windows용 버전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추후 릴리즈 한다고 하네요.. 저의 경우에는 Asahi Linux 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Fedora / aarch64 환경이라 관련 버전을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데, 배포를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Zig 로 빌드를 해야 하지만, "어라~ 빌드가 안되네.." 하지만, 이미 선지자 분께서 비 공식적인 fedora r..

대부분의 일반 사용자들은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OS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웹 브라우저를 사용합니다. 그러다 보니, Windows에서는 Edge, macOS에서는 Safari를 그리고 Linux 진영에서는 Firefox를 많이 사용하지요. 서비스나 컨텐츠 중심이라면 단연 chrome 브라우저를 많이 사용합니다.위에 나열한 base line을 기준으로 좀 더 특정 기능과 성능에 중점을 둔 Folk 버전 웹 브라우저들이 존재하지요.. 오늘 소개할 Zen Browser는 Firefox의 Gecko 엔진을 기반으로 UI/UX Custom에 중점을 둔 웹 브라우저 입니다.Arc Browser의 Firefox 판이라이는 것이 세간의 일반적인 평가 입니다.Zen Browser의 가장 큰 매력은 무엇보다 컨..

이번 포스트에서는 neovim에서 사용할 수 있는 plug-in 중 markdown render의 떠오르는 최강자로 부상하고 있는 markview.nvim을 소개 합니다. 지금까지 markdown(.md) 파일을 편집할 수 있는 neovim plug-in들은 많이 나왔지만, markview.nvim plug-in 은 조금 특별합니다.이 plugin이 가장 큰 정점은 아래의 동영상에서 볼 수 있듯이 insert mode에서 실시간 rendering을 사용할 수 있는 hybrid mode를 지원한다는 것입니다.위의 내용은 개발자가 작성한 글로, 내용을 보면 컴퓨터가 없어서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수 개월에 걸처 코딩하여 만들었다고 합니다. 만일 진짜라면 정말 굉장한 작업을 한 것인데요. 개발자는 방글라데시에 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