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IOS
- Fedora
- 아이폰
- 애플
- iOS 13
- asahi linux
- mojave
- 컨트롤러
- catalina
- 맥
- tevo
- Tarantula
- 정식버전
- 3D 프린터
- Linux
- AirPods
- 터미널
- high sierra
- beta
- 버그
- 에어팟
- 모하비
- macos
- Mac
- 3D프린터
- 시에라
- 터치바
- 업데이트
- 맥북프로
- sierra
- Today
- Total
목록3D 프린터 114
elsa in mac
드디어, 마침내... Simplify3D의 차기버전인 4.1 버전이 정식으로 릴리즈 되었습니다. 지난 4.0 버전이 발표된 이 후, 약 1년이 넘은 황당한 업데이트 입니다. 이번 4.1 버전 업데이트를 보면서, 가장 먼저 느낀 것은 Open Source 정책의 Power를 다시한번 실감하게 되었다는 점 이고, 내용을 확인해 본 결과 도저히 높은 점수를 줄 수는 없을 것 같다는 것 입니다. 자 그럼 어쨌든.. 4.1 버전에서 새롭게 추가되거나 향상된 기능들을 알아봅니다. - Multi Material 지원 (별 2개) S3D 4.1 버전의 핵심은 MMC 입니다. 최근 FFF 프린트 분야에서 가장 눈에 띈 진전이라면 Prusa의 MMU 2 발표와 함께 다시금 이슈가 된 Multi Material 지원 기능이..
어느덧, 나뭇잎이 노랗게 빨갛게 물들어가면서 가을이 깊어가고 있네요.. ^^ 이번 포스트는 지난 10월 1달 동안 Marlin Firmware의 주요 변경사항에 대한 요약 내용 입니다. - Controller Display에 한국어 지원 추가. - marlin/src/lcd/language.h gouache님이 수고를 해 주셨구여, 다행히 Marlin Team에서 Aceept를 했습니다. 네이버의 나눔고딕 폰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했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이 곳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소소한 것일지도 모르겠지만, 굉장히 중요한 첫 걸음일 수도 있다는 점에서 박수를 보내 드립니다. - TMC Library 변경 - TMCStepper library 기존에 TMC 계열 Driver를 사용하려면, TMC2130..
CoreXY 3D 프린터에 Marlin 펌웨어를 적용할 시, 그리고 Slicer로 Simplify3D 를 사용할 경우, 매우 특이한 현상을 확인하게 됩니다. 이 것은 최근의 Marlin 펌웨어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인데요.. 아래와 같이 HeatBed의 현재 온도 그래프가 엉망 진창이 되는 현상 입니다. 거의 숫자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높은 온도 또 반대로 낮은 온도 그래프가 만들어 지면서, Graph 전체가 망가지는 현상 입니다. 일명 Temperature Spike 현상인데요.. 일단 이런 그래프를 보게 되면 급 당황하게 됩니다. 온도 센서인 Thermistor가 망가진 것인가 ? 항상 나오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그냥 지나칠 수도 있는 문제이기도 하죠..CoreXY에서 특히 이와 같은 Bug아닌 ..
이번 포스트에서는 S3D(Simplify3D)에서 Brim과 Ooze shield를 함께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Brim과 Ooze Shield의 의미를 익히 알고 계신 분들고 계시겠지만, 3D Printer에 막 입문하신 분들을 위해 약간의 설명을 붙이겠습니다. Brim Brim 기능은 3D Model을 출력할 때, Bed에 출력하는 모델을 단단히 달라 붙어 있게 하는 Bed 안착성을 보강하는 기법 중 하나 입니다. 특히, Bed 안착 자체 보다는 ABS나 PC(Polycarbonate) 등과 같이 부분적인 warping(워핑, 수축으로 인한 들틈) 현상이 잘 발생하는 필라멘트를 사용할 시에 많이 적용하게 됩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warping의 대표적인 사례 이죠..warping은 모..
FDM 3D Printer 분야에서 독보적인 명성을 자랑하고 있는 Prusa에서 SLA 방식의 Open Source 3D printer인 SL1을 공개 하고 판매에 들어 갔습니다. SL1은 MSLA(Masked StereoLithography) 프로세싱 기술을 적용한 프린터입니다. Original SLA 방식은 단일 UV Layer 광원으로 Model의 단일 Layer를 그리는 방식을 사용했죠.. 그 뒤에 나온 것이 DLP-SLA인데, 단일 Layer를 DLP Projector의 평면에 한번에 투사 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프린팅 할 수 있도록 개선한 방식입니다. MSLA는 LCD의 픽셀로 구성된 Layer mask에 LED Array광원을 쏘아 Layer를 구성하는 방식 입니다. 해상도 측면에서는 DL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