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Fedora
- mojave
- tevo
- 버그
- 에어팟
- sierra
- 아이폰
- 3D프린터
- asahi linux
- 컨트롤러
- high sierra
- 터미널
- Tarantula
- iOS 13
- 애플
- macos
- AirPods
- 맥
- catalina
- 모하비
- 시에라
- Linux
- Mac
- 업데이트
- beta
- 맥북프로
- IOS
- 3D 프린터
- 터치바
- 정식버전
- Today
- Total
elsa in mac
WannaCry에 감염된 PC의 파일을 복구할 수 있는 wanaKiwi(무료) 공개 본문
WannaCry에 감염된 PC의 파일을 복구할 수 있는 wanaKiwi(무료) 공개
elsa in mac 2017. 5. 22. 15:21전 세계 150여개 국가에서 30만대 이상의 컴퓨터를 감염시킨 wannaCry 렌섬웨어..
이미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보안 패치를 공개하고 있지만, 미처 조치하기 전에 감염이 되었다면, 프랑스의 보안 전문가인 Benjamin Delpy가 만들어 GitHub에 공개한 wanaKiwi를 사용하여 WannaCry에 의해 암호화된 파일을 복구시킬 수 있습니다.
단,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구를 하려면 아래와 같은 전제 조건이 필요 합니다.
1. wannaCry 에 감염되었음을 확인한 직 후, PC를 재 부팅하지 않은 상태여야 함.
2. wannaCry 표시창의 남은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상태여야 함.
만일 wannaCry에 감염이 되었고, 위의 두 가지 전제조건이 충족된다면, 아래의 wanaKiwi.exe를 다운로드 받아 실행시키면, wannaCry로 암호화된 파일들을 해제 시킬 수 있습니다.
위의 두 가지 전제 조건이 필요한 이유는 wannaCry가 활성화 되어 사용자 파일들을 암호화 할때, 이용한 Key를 추출하여 암호화 해제키를 만들어 내야 하기 때문입니다. 바꿔말해, 만일 감염된 PC를 재 부팅하거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근거정보가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해독키를 만들어 낼 수 없기 때문입니다.
- 다운로드 링크
- wanaKiwi.exe
사용방법은 간단합니다. wanaKiwi,exe를 c:\ 에 옮겨 놓은 후, Dos Command 창을 열고, c:\ 에서 wanaKiwi.exe를 실행시키면 됩니다.
위의 스샷은 감염되지 않은 Windows XP에서 실행시킨 것이므로, "Process not found..." 즉, 감염된 Process가 없다고 나오지만, 만일 감염이 되었다면, 아래와 같이 암호화된 파일을들 해제해 나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WanaKiwi.exe는 Windows XP, Windows 7. Windows 2003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일 이 글을 보신 후에, 혹시라도 wannaCry에 감염이 되었다면 잊지 마시고 위의 방식으로 해결하시기 바랍니다.
'애플 및 기타 IT 소식 > 기타 IT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Microsoft에 인수 ?? (0) | 2018.06.04 |
---|---|
마이크로소프트, 신형 Surface Pro 발표 (0) | 2017.05.24 |
렌섬웨어 WannaCry 감염 피해의 98%는 Windows 7 (0) | 2017.05.20 |
마이크로소프트, wanna cryptor 랜섬웨어에 대한 Windows XP등 이전 윈도우 버전들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 배포 (0) | 2017.05.15 |
저가에 전도성 페인트만 뿌리면 뭐든지 멀티 터치 패널로 만들 수 있는 - Electrick (0) | 2017.05.13 |